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"금값이 920만 원까지 간다고?" 중국 상하이 선물거래소

by sarahtiger777 2025. 7. 16.

2025년, 전 세계 금 시장이 조용히, 그러나 거대한 변화를 맞이하고 있습니다. 이 변화는 단순히 가격 등락을 넘어서, 세계 통화 질서의 축이 흔들릴 수도 있는 신호입니다. 바로 중국 상하이 선물거래소(SGE)의 개혁 등 금 시장 변화 움직임 때문입니다.

 

 

1. 2025 금시장 지금 세계 금시장은 ‘조용한 전쟁터’

2025년, 세계 금융시장에 거대한 변화가 시작되고 있습니다. 겉으론 조용하지만 그 파장은 세계 통화질서를 바꿀 수도 있는 수준입니다. 그 중심엔 다름 아닌 **‘금(Gold)’**이 있습니다. 최근 중국 상하이 선물거래소는 외국인 투자자들에게 중국 금 선물시장에 직접 접근할 수 있도록 개방했습니다. 이제는 중국 내 중개인 없이, 외화로 실물 금을 인도받는 거래가 가능해졌습니다. 이건 단순한 절차 개선이 아닙니다. 세계 금 시세를 결정하는 중심지가 런던과 뉴욕에서 상하이로 이동할 수도 있다는 신호입니다.

 

더 놀라운 점은 이 거래가 단순한 숫자상의 계약이 아닌, 실제로 금을 주고받는 실물 인도 방식이라는 점입니다. 이는 단순한 제도 개선이 아니라, 금값 결정의 주도권을 서구에서 중국으로 옮기겠다는 선언에 가깝습니다. 2025 금 시장 변화가 실제 금값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될까요. 금값 알아보기.

 

2. 종이금 vs 실물금… 중국이 던진 도전장

지금까지 금시장은 '종이 금 거래' 중심이었습니다. 실제 금을 사고파는 것이 아니라, 숫자만 오가는 계약이 대부분이었죠. 실물 없이 숫자만 오가는 거래, 즉 가격만 베팅하는 구조였습니다. 하지만 중국의 새로운 제도는 ‘실물 금 인도’를 원칙으로 합니다. 중국은 미국 국채 보유를 줄이고, 금 보유를 늘리며, 비공식 보유량까지 합치면 25,000톤 이상으로 추정된다는 분석도 있습니다.

  • 달러 시스템의 리스크 회피
  • 외환 보유의 새로운 축으로서의 금
  • 통화 리셋 시나리오의 대비

3. 달러의 시대는 언제까지 안전자산 금 대체할까

달러의 가치가 떨어지고 화폐의 가치가 위태하다는 것을 느끼고 있습니다.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 시장이 증명해주죠. 그런데 화폐에 대응하여 중국이 금 시장을 밀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요. 중국은 세계 최대 금 소비국이자 생산국입니다. 한때 1.3조 달러 이상의 미국 국채를 보유했던 중국은, 현재는 그 규모를 7,500억 달러 수준으로 줄였습니다. 이러한 변화는 단순한 자산 포트폴리오 조정이 아닙니다. ‘달러 시스템의 리스크’를 회피하고, 그 대안으로 ‘금’을 선택했다고 분석할 수 있습니다.

 

금이 안정된 자산이라는 데 가장 큰 이유가 있습니다. 중앙은행이 찍어낼 수 없고, 압류도 어렵고, 정치적 무기화가 잘 안 되는 안정된 자산입니다. 역사적으로 금 거래의 중심지는 늘 패권국이었습니다. 

 

  • 고대 이집트와 리디아
  • 중세 베네치아, 제노바
  • 17세기 암스테르담
  • 18~19세기 런던
  • 20세기 뉴욕

그리고 이제, 21세기에는 상하이가 그 자리를 노리고 있습니다. 그 중심에는 금이 있고, 그 금을 둘러싼 국가 간 주도권 싸움이 있습니다. 그래서 ‘금은 달러의 반대 자산’이라고 불리는 것이죠.

 

4. 전 세계가 ‘금 기반 시스템’으로 전환 중

중국뿐만이 아닙니다. 세계 곳곳에서 금 기반 통화 실험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.

  • 짐바브웨: 금으로 뒷받침되는 통화 ‘ZiG’ 도입 (2024년)
  • 러시아: 1g 금 = 5,000루블 고정 → 디지털 루블 결제 실험
  • 터키, 이란, 인도, UAE, 말레이시아 등: 금 연동 무역 결제 추진

이들은 모두 달러 의존도를 줄이고, 새로운 국제 결제 시스템을 시도하고 있습니다. 브릭스(BRICS)는  브라질, 러시아, 인도, 중국, 남아공을 중심으로 최근 사우디, UAE, 이란, 이집트, 에티오피아까지 가입하면서 이러한 영향력은 더 커지고 있습니다.

5. 2025 금값 920만원까지 오를까

금값 920만원은 현재 금값(약 330만 원)의 무려 17~18배에 달합니다. 극단적인 시나리오이기는 하지만 통화 리셋이 현실화된다면 예상해볼 수 있는 시나리오입니다. 현재 전 세계에 풀린 광의 통화량(M2)은 약 100조 달러 이상입니다.반면, 전 세계 중앙은행이 보유한 공식 금은 약 35,000톤입니다. 이 돈을 전부 금으로 뒷받침하려면, 금 1온스(약 31.1g)당 56,868달러가 되어야 합니다. 환율을 적용하면 1온스당 920만 원 수준입니다.

중요한 것은 중국의 시장개방으로 금 시장에 변화가 일어나다는 점입니다. 2025 금 시장의 변화가 방향성을 갖췄다는 데 의의를 두고 투자 선택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 

관련 글 추천

  • [금ETF 투자, 지금 들어가도 될까?]
  • [디지털 금 vs 실물 금, 어떤 게 유리할까?]
  • [2025년 브릭스 통화 출범설, 사실일까?]